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ERCP란?
:입, 식도, 위장을 지나 십이지장에서 담도와 췌장으로 통하는 곳을 특수 내시경으로 직접 보면서 조영제 주입 후 담낭 및 담도와 췌장의 상태를 파악, 치료하기 위한 시술
대상자
:황달, 담도폐색이 의심되는 환자, 상복부 통증, 혈액검사상 만성 췌장염이나 경화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환자
금기
: 혈액응고장애 환자,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 상부 소화관 협착환자
검사과정
1. supine position이나 side lying position으로 눕힌다.
2. 검사하는 동안 불편을 덜기 위해 국소마취제, 기포제거제, 진정제가 투여된다.
3. 구강을 마우스피스로 고정시킨 후 scope을 십이지장으로 삽입하고 scope의 lumen을 통하여 카테터를 ampulla->총담관->췌권으로 넣는다.
4. 투시하에 조영제를 시험주입하고 정확한 삽관이 됐는지 확인 후 cannula를 삽입시켜 조영제를 주입하여 체관, 총담관, 총 간관, 좌우간관, 담낭관, 담낭의 순서로 조영제를 역행성으로 주입하여 촬영한다.
5. 내시경을 빼고 supine, oblique자세로 담관, 체관을 투시촬영하고 환자를 세워서 담낭, 원위총담관을 활영한다.
검사 전 간호
MN NPO,
동의서 확인, 검사 전 serim amylase 확인: 조영제에 의해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
fluid keep with 18G needle,
V/S 확인,
요오드 알레르기 반응검사
검사 후 간호
V/S 확인 Q 1hr*4 ,
감염, 천공, 출혈관찰,
ABR for 24hr.
hot bag on abdomen,
serum amylase확인 (검사 4시간 후, 다음날 아침)
'의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요양보험제도 신청자격, 신청방법 및 등급 판정 (0) | 2023.06.26 |
---|---|
감염관리 실무지침, 역격리의 지침, MRSA, VRE예방지침 (0) | 2023.06.26 |
기본간호- 관장(enema) (0) | 2023.06.21 |
환자 기본간호 - 투약의 기본 원칙 : 5right, 7right (0) | 2023.06.21 |
3.Joint -knee 자주쓰는 정형외과(OS) 수술용어 의학용어 (0) | 2023.06.20 |